본문 바로가기
명리학(사주)

내 사주 스스로 풀이하기[사주보는법, 사주풀이, 명리학]

by pp_minjoo 2023. 1. 5.

새해나 큰일을 앞두고 있을 때, 우리는 사주팔자를 이용해 조언을 얻기도 합니다.

 

새해 운세, 오늘의 운세 등 다양한 분야에서 명리학은 이용됩니다.

사주명리학은 생년월일 및 생시로 선천운과 후천운을 감정하는 학문입니다. 

연월일시의 순으로 2조씩 4 기둥을 세워서 오행의 생과 극, 십간의 합, 7살 및 십이지의 합 등을 해석하여 감정합니다.

 

그중 아주 기본적인 내용만을 가지고 스스로 나의 사주 풀이하는 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포털사이트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만세력" 프로그램을 다운받습니다.

제가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은 아래와 같습니다.

만세력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생년, 월, 일, 시간을 넣고 조회하시면 아래와 같은 그림이 나옵니다.

만세력 조회 화면

왼쪽부터 시주, 일주, 월주, 연주에 해당합니다.

시주의 윗줄은 시간, 아랫줄은 시지

일주의 윗줄은 일간, 아랫줄은 일지

월주의 윗줄은 월간, 아랫줄은 월지

연주의 윗줄은 연간, 아랫줄은 연지

 

일주 부분을 통해 기본적으로 나는 어떤 기운을 구성하고 있는지, 기본적인 성향은 어떠한 사람인지 알 수 있습니다. 본격적인 해석에 앞서 기본적인 오행과 음양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 오행

그림의 색깔에서 알 수 있듯이, 사주는 녹색(나무), 적색(불), 황색(땅), 백색(금), 흑색(물)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녹색(나무)은 봄에 해당하며, 땅을 뚫고 솟아오르는 형상입니다.

적색(불)은 여름에 해당하며, 잎을 무성히 펼치는 형상입니다.

황색(땅)은 여름과 가을의 사이로 형태를 유지하는 형상입니다.

백색(금)은 가을에 해당하며 열매를 맺는 형상입니다.

흑색(물)은 겨울에 해당하며 숨을 고르기 위해 땅으로 다시 돌아가는 형상입니다.

 

오행의 색깔을 고루 가지고 계시는지, 한 색으로 치우쳐져 있는지 확인하시면 좋습니다.

 

(예시)

위의 사주 경우 오행의 색 중 백색이 없는 걸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백색은 금에 해당하는 것으로 열매를 맺는 형상입니다. 즉, 수확하는 힘이 약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상대방에 백색을 가진 사람과 만나면 좋은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양과 음

사주는 목(나무), 화(불), 토(흙), 금(금), 수(물) 한 기운만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 양의 기운, 음의 기운 2가지의 기운으로 나뉩니다. 즉, 목의 기운도 양목과 음목, 화의 기운은 양화와 음화, 토의 기운은 양토와 음토, 금의 기운은 양금과 음금, 수의 기운은 양수와 음수의 기운으로 나뉩니다.

- 목(나무) : 양목, 음목

- 화(불) : 양화, 음화

- 토(흙) : 양토, 음토

- 금(쇠, 금) : 양금, 음금

- 수(물) : 양수, 음수

 

○ 양의 기운 특징

미래의 가치를 중시하며 행동 지향적이며 외향적, 능동적이다.

# 봄, 여름, 확장, 상승, 남성, 오른쪽

 

○ 음의 기운 특징

현재의 가치를 중시하며 사고 지향적이며 내향적, 수동적이다.

# 가을, 겨울, 수축, 하강, 여성, 왼쪽

 

▶ 간지

사주는 간지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간지는 천간(하늘의 기운)과 지지(땅의 기운)로 구성되어 있고 천간은 총 10개(갑, 을, 병, 정, 무, 기, 경, 신, 임, 계)이고, 지지는 총 12개(자, 축, 인, 묘, 진, 사, 오, 미, 신, 유, 술, 해)입니다.

 

천간(하늘의 기운)

천간은 목의 기운인 갑과 을, 화의 기운인 병과 정, 토의 기운인 무와 기, 금의 기운인 경과 신, 수의 기운인 임과 계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기운과 합쳐 갑목, 을목, 병화, 정화, 무토, 기토, 경금, 신금, 임수, 계수로 읽습니다. 여기서 앞서 배운 양과 음의 기운을 접목시키면 양의 기운으로는 갑목, 병화, 무토, 경금, 임수가 있고, 음의 기운으로는 을목, 정화, 기토, 신금, 계수가 있습니다.

 

천간 - 갑(甲), 을(乙), 병(丙), 정(丁), 무(戊), 기(己), 경(庚), 신(辛), 임(壬), 계(癸)

 

- 갑목(양의 기운), 을목(음의 기운)

- 병화(양의 기운), 정화(음의 기운)

- 무토(양의 기운), 기토(음의 기운)

- 경금(양의 기운), 신금(음의 기운)

- 임수(양의 기운), 계수(음의 기운)

 

지지(땅의 기운)

지지는 자, 축, 인, 묘, 진, 사, 오, 미, 신, 유, 술, 해로 총 12개로 이루어져 있고 시간과 관련이 있습니다.

즉, 시간의 기운 형상입니다.

 

자(子) : 대설 ~ 소한, 23:30~01:30

축(丑) : 소한 ~ 입춘, 01:30~03:30 

인(寅) : 입춘 ~ 경칩, 03:30~05:30

묘(卯) : 경칩 ~ 청명, 05:30~07:30

진(辰) : 청명 ~ 입하, 07:30~09:30

사(巳) : 입하 ~ 망종, 09:30~11:30

오(午) : 망종 ~ 소서, 11:30~13:30

미(未) : 소서 ~ 입추, 13:30~15:30

신(申) : 입추 ~ 백로, 15:30~17:30

유(酉) : 백로 ~ 한로, 17:30~19:30

술(戌) : 한로 ~ 입동, 19:30~21:30

해(亥) : 입동 ~ 대설, 21:30~23:30

 

▶ 만세력 보는 법

위의 내용을 참고하여 본인의 가장 기초적인 성향을 알기 위해서는 일주를 보셔야 합니다. (왼쪽에서 2번째)

일주의 일간(왼쪽에서 2번째 윗줄)에 해당하는 글자가 무엇인지, 일지(왼쪽에서 2번째 아랫줄)에 해당하는 글자가 무엇인지를 확인 후에 해당 일간과 일지의 기본적인 성향이 무엇인지 파악하여 나의 성향을 알 수 있습니다.

앞으로 다음 포스팅을 통해 간지의 첫 번째 천간 갑목부터 차례차례 알려드리겠습니다.

 

 

 

 

 

 

댓글